불안집중 클리닉 2

<사회불안장애 클리닉> 개인/집단상담

“사람들 많은 곳에 가면, 사람들의 시선이 느껴져서 어찌할 바를 모르겠어요.”
“발표하기 위해 앞에서면, 머릿속이 하얘지고, 목소리가 떨려요. 제 눈으로도 제 손이 떨고 있는 것이 보이죠. 발표를 할 수가 없어요”
“사람들 앞에서 긴장하게 되고, 얼굴이 빨게 지는 것이 느껴져요. 이상하게 볼까봐 걱정됩니다.”

  사람들에게 자신이 관찰될 수 있는 상황에 처하게 되면, 당연히 긴장이 됩니다. 사람들 앞에서 내가 당황하는 것을 보여주는게 수치스러워서, 바보스러워보일까봐, 나쁜 인상을 줄까봐 긴장하게 됩니다. 원래 수줍음이 많아 긴장하는 분도 있지요. 하지만 그 불안과 긴장의 정도가 과해서 너무 심하게 예민해진다면, 상당한 공포나 불안을 불러일으킨다면, 사람들 만나는 자리를 피해서 집에만 있게 된다면, 사회불안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사회불안증은 사회공포증 혹은 대인기피증이라고도 불리기도 했는데, 대인관계 혹은 사회적 상황에서 겪는 불안과 긴장, 심리적 어려움을 갖는 것을 말합니다. 가장 많이 토로되는 것은 다른 사람들 앞에서 발표하거나 연주하는 것, 글씨를 쓰거나 음식을 먹어야 하는 것, 대중교통을 이용해야한다거나 사람이 많은 장소에 들어가야 하는 것, 얼굴이 붉어지거나 몸의 떨림을 다른 사람에게 보여야 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사회불안은 그 사람이 사회에서 사람들과 어울려 잘 적응하고 기능하도록 만들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발표할 때 손떨림이나 얼굴이 빨개지는 것이 느껴지면, 학교 수업이나 직장내 브리핑과 같은 꼭 해야하는 상황조차도 피하고 능력껏 하지 못하게 됩니다. 땀을 흘리는 것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과 악수하거나 매운 음식을 먹는 것을 피하게 됩니다. 이렇게 회피하는 동안 때로는 한심하게 느껴지고, 자책하게 되며, 삶의 활동반경이 좁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사회불안과 두려움 이면에는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게 부정적으로 평가되지는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가장 큽니다. ‘발표할 때 내가 손을 떨고 있으면, 사람들이 날 이상하게 볼꺼같아요.’, ‘얼굴이 빨게 지면 제가 무언가 잘못했다거나 자신을 좋아한다고 여길지도 몰라요.’라고 말하는 내용에는 이러한 부정적 평가의 두려움을 알 수 있습니다. 

■ 대상     : 사회불안, 대인기피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성인 혹은 청소년 개인상담/ 집단상담
■ 회기 및 진행  : 집단 상담의 경우 총 9회기로/비슷한 종류의 사회불안 4-6명이 구성 / 대기 혹은 개인상담 진행 이후 집단이 구성되면 시작됨
■ 상담진행절차
1. 주호소와 문제적 측면에 대한 면담적 평가
2. 종합심리평가 실시와 결과해석

목차 상담내용 
 1 상담자 소개, 집단원 소개, 치료프로그램 안내, 사회불안의 정의와 진단기준, 치료받계된 계기, 설문지에 증상과 문제들 기록하기
 2사회불안의 증상과 원인 이해하기, 자동적 사고 파악하기
증상기록지와 인지왜곡표를 통해 자신의 문제 탐색하기(인지행동치료기법 사용하기) 
 3 불안의 긍정적 의미 이해하기, 인지적 재구성 과정1
합리적 사고와 비합리적 사고의 차이 이해하고 합리적 사고하기
 4 인지적 재구성과정 2  공포상황에 대한 위계 목록표 만들기
증상에 대한 기록지와 인지 왜곡표를 다른 내담자와 공유하기
 5사회적 불안을 다루는 노출 1단계 : 심상노출하기
이완훈련
 6 사회적 불안을 다루는 노출 2단계 : 역할연습
사회적 불안을 다루는 노출 3단계 : 실제상황 노출 과제준비
 7 사회불안을 다루는 노출 3단계: 실제상황 노출
증상기록지와 인지 왜곡표 다른 내담자와 공유하기
 8 실제상황노출 공유하기, 스트레스 관리, 나에게 주는 편지, 수료식
 91달 후,  추후 회기
확대